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경제산업부 박지혜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박 기자, 정부가 압박해서 라면 값 내린 게 맞는 거에요? <br> <br>네 맞습니다. <br><br>열흘간의 '라면 논쟁',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18일 "기업이 밀 가격 내린 부분에 맞춰 라면 값을 내렸으면 좋겠다"며 대놓고 압박을 하면서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처음엔 업체들이 "막상 국내 제분업체로부터 사오는 밀가루 가격은 안 내렸다"며 저항했는데요. <br> <br>결국 백기투항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그제 제분업계를 소집해 간담회를 열면서 압박 수위를 높였고요. <br><br>원래 오늘은 라면업계 간담회를 앞두고 있었는데 어제 농심과 삼양라면이 가격을 내리겠다고 하면서 취소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Q2. 그런데 어떻게 라면이 타깃이 된거에요? <br> <br>라면은 한 끼 가볍게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서민 음식입니다. <br><br>그만큼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들의 체감도와 저항감이 높다는 겁니다. <br><br>지난달 국제 밀 가격은 1년 전보다 절반 가까이 떨어졌는데요. <br><br>농심 신라면 가격은 1년 전보다 11% 오른 상태였습니다.<br><br>원료값은 떨어졌는데 라면값은 내리지 않으니 농심은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6% 급증해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. <br> <br>오뚜기도 영업이익이 11% 늘었는데요. <br> <br>그러니까 정부가 제동을 건 겁니다. <br><br>Q3. 결국 가격을 내리긴 했지만 억울한 마음도 있을 것 같아요. <br> <br>라면업계는 전분과 같은 다른 원재료 가격은 여전히 높고 인건비와 포장비도 올랐다는 주장이고요, <br> <br>제분업계도 밀 가격이 작년보다는 떨어졌지만, 코로나 이전보다는 아직 높다는 입장입니다.<br><br>Q4. 물가 잡기에 정부가 직접 나선 상황인데, 과거에도 정부가 압박해서 가격을 내린 적이 있나요? <br> <br>현재 상황과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0년이 거의 판박이입니다. <br><br>당시에도 고물가로 서민경제 시름이 깊었는데요. <br><br>라면 등 실생활 밀접 품목 52가지를 추려 'MB물가지수'를 만들고 집중 관리했습니다.<br> <br>그리고 라면과 과자업체들에 대해 담합조사를 하겠다고 엄포를 놨는데요.<br><br>그때부터 라면, 제과업체가 줄줄이 가격을 낮추면서 상황이 일단락 됐습니다.<br><br>Q5. 그럼 그 때 MB물가지수가 실제로 소비자물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나요? <br> <br>안타깝게도 반대였습니다. <br><br>소비자 물가지수가 12% 오른 3년 동안 MB물가지수는 20% 넘게 올랐습니다. <br><br>그 이유는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우리가 자주 사먹는 가공식품들의 비중이 생각보다 낮아섭니다. <br> <br>품목들의 가중치 전체가 1000인데요, <br> <br>라면은 비중이 2.7, 식당에서 먹는 것까지 다 합쳐봐야 3.4밖에 안 됩니다.<br><br>돼지고기나 쇠고기, 우유보다도 낮습니다.<br><br>즉 정부가 직접 특정 품목 가격을 낮춰도 물가 잡기로 이어지긴 힘들 수 있습니다. <br> <br>Q6. 오늘 움직임을 보면 라면에서 시작이 됐지만, 과자와 빵까지 가격이 줄줄 내렸습니다. 그럼 정부의 다음 타깃은 어딘가요? <br> <br>일단 밀가루를 많이 쓰는 피자나 치킨 같은 외식메뉴들이 떠오르긴 하는데요. <br><br>다만 정부 관계자에게 직접 확인해본 결과 "외식업종은 업종별 상황에 따라 다른 데다 인건비 등 영향이 있어 건드리기 어렵다"는 답을 받았습니다.<br> <br>최근 원자재 시세를 확인해봤더니요. <br> <br>국제 거래소에서 매매가 이뤄지는 우유와 치즈, 아라비카 커피, 식품을 튀길 때 쓰는 캐놀라와 대두유 등 꽤 많은 품목이 1년 전보다 가격이 내린 상태였습니다. <br><br>이에 대해 정부는 콩과 옥수수 등의 가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, 다만 이들 품목은 사료에 더 많이 쓰이는 만큼 소비자물가에 직접적으로 연동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